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공동주최 : 고려대학교

기간 : 2014-09-16 ~ 2014-11-18

프로그램 개요

 인문학 대중강연 「어떻게 살 것인가」는 현대를 사는 우리가 잊고 사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질문인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주제로 하는 대중강연 프로그램이다. 이 강연에서는 우리시대 최고의 지성들이 학문의 틀에 갇힌 인문학을 일상으로 불러내어 각각의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_20160613164049.jpg



 


1회
201701251643_1.jpg

김상근
연세대학교 신학과 교수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박사

주요저서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인문학으로 창조하라」 外


강연명
발제- 어떻게 살 것인가

강연일시
2014.09.16(화) 19:00~20:00

강연소개
인문학이 던지는 3가지 질문,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것인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

맨 얼굴의 나를 되돌아 보고, 그로부터 어떻게 사람답게 살 것인지,
자신의 내면에 대한 성찰을 하게 하는 것이 바로 인문학의 힘이다.

2014년, 성찰의 인문학이 당신에게 질문한다.
당신은 어떻게 살것인가? 어떻게 의미있는 삶, 후회 없는 삶을 살 것인가?

참고 고전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향연」, 천병희, 숲


 
201701251643_1_1.jpg

고은
시인
1958년 등단, 150권 이상 저작 발표
23개국어로 작품이 번역되어 세계적 반향
국내외 14개 문학상, 2개 훈장 수상

주요저서
시집 「만인보」, 「고은시전집」, 소설 「피안감성」, 「화엄경」 外


강연명
내 안의 광야, 노래의 씨를 뿌려라

강연일시
2014.09.16(화) 20:00~21:00

강연소개
무한히 넓은 광야와 같은 인간의 마음 속에는 일상에 밀려 잊혀진, 노래하는 시인이 살고 있다.
한국의 언어와 역사로 세계인을 감동시킨 고은 시인과 함께 내 삶의 시어詩語를 되찾아 보자


2회
201701251643_2.jpg

이석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前)오하이오 주립대 철학과 교수
제2회 Rogers상(British Society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최우수논문상)수상
예일대학교 철학과 박사

주요논문
「Toward a New Reading of Leibnizian Appetites: Appetites as Uneasiness」, Res Philosophica(2014) 「Philosophy in its Place and Time: A Trans-Pacific Perspective」, 철학사상 48호(2013) 「Malebranche on Necessary Connections, Omniscience, and Omnipotence」, Debates in Modem Philosophy, Routledge(2013) 


강연명
질문하는 힘: 철학자들이 던지는 5가지 물음

강연일시
2014.09.23(화) 19:00~21:00

강연소개
좋은 질문은 대답보다 강할때가 있다.
삶과 세계를 이해하려 한 철학자들은 어떤 물음을 던지는가?

철학자들의 질문과 그들의 고민을 통해,
삶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해본다.

참고고전
데카르트, 「성찰」, 이현복 역, 문예출판사


3회
201701251643_3.jpg

한명기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월봉저작상(2000), 한국출판문화상(2014)등 수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주요저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광해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역사평설 병자호란 1,2」 外


강연명
임진왜란, 과거를 징계하여 훗날을 대비하다.

강연일시
2014.09.30(화) 19:00~21:00

강연소개
조선 역사 최대의 위기였던 임진왜란,
영웅 이순신을 천거하여 나라를 구한 명재상 류성룡
위기를 극복한 리더로서 그가 남긴 냉철한 분석과 통절한 반성을 들어봄으로써 다시 격동의 시대를 맞이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본다. 


참고고전
류성룡, 「국역 정본 징비록」, 이재호 역, 역사의 아침


4회
201701251643_4.jpg

조성택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前)뉴욕주립대 비교종교학과 교수
불교평론 올해의 논문상(2010), 원효학술상(2013)수상
대통령 직속 문화융성위 인문정신특별위원회 위원
美 U.C Berkeley 대학원 철학박사

주요저서
「불교와 불교학」, 「퇴옹성철의 깨달음과 수행」, 「Buddhism and Violence」 (공저),「Transculurality: Epistemology, Ethics and Politics」 (공저)


강연명
경계와 차이를 넘어 함께 사는 지혜

강연일시
2014.10.07(화) 19:00~21:00

강연소개
오늘날 한국은 다양한 갈등과 분쟁과 마주하고 있다. 전통과 현대, 분단과 전쟁, 경제적 격차, 세대 간 그리고 여기에 더해 최근 다양한 문화의 유입과 종교간 갈등 등.
이 강연에서는 원효의 화쟁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사회 대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원리를 모색하고자 한다. 즉, 그것은 "다양성을 어떻게 이해하면서 함께 조화로운 공존을 지향할 것인가"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고전
원효, 「십문화쟁론」

[번역 및 해설서]박태원, 「원효의 십문화쟁론「, 세창출판사


5회
201701251643_5.jpg

차드 멍 탄
Google 명상전문가
(前)Google 엔지니어
Tan Tao 자선재단 이사장
Stanford University 연민과 이타주의 센터 창립후원자

주요저서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Search inside yourself)」, 「How to master your mind in 100 minutes」


강연명
행복에 관하여: 마음 vs. 몸

강연일시
2014.10.14(화) 19:00~20:00

강연소개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플라톤은 「인간은 완전한 아름다움을 향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꾸며가느라 온갖 애를 다 쓰지만 끝내 미완성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는 존재」 라고 생각한다. 아름다움의 추구는 정말 어려운 일인 것이다.

하지만 플라톤은 우리에게 어려움으로 가득한, 바로 그 '추구의 여정'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201701251643_5_1.jpg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2003 한국심리학회 소장학자상
미시간대학교 대학원 사회심리학 박사

주요저서
「프레임」, 「행복교과서」外


강연명
행복에 관하여: 마음 vs 몸

강연일시
2014.10.14(화) 20:00~21:00

강연소개
'천국은 내 마음(性)을 따르는 것이다' 'Happiness is a state of mind'
동양의 고전 「중용」부터, 영어권의 속담까지, 

우리는 행복이 내 마음에 있다고 배워왔다.

진정 행복은 어떻게 마음먹기 만에 달린 것일까?
구글의 엔지니어 출신으로 세계적인 명상전문가인 차드 멍 탄과, 행복전문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가 행복을 찾는 길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6회
201701251643_6.jpg

용타스님
재단법인 행복마을 이사장
성륜불교문화재단 이사장
미국 삼보사, 귀신사 회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수료

주요저서
「공(공을 깨닫는 27가지 길)」, 「마음알기 다루기 나누기」, 「10분 해탈」


강연명
행복한 삶을 위한 5가지 원리

강연일시
2014.10.21(화) 19:00~20:00

강연소개
우리 모두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살고자 노력한다. 좋은 집에 살고 좋은 차를 타기 위해 돈을 벌고, 자녀를 더 좋은 학교에 보내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마다하지 않는다. 하지만 많은 돈과 명예가 행복의 충분조건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이미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행복해질 수 있는 결정적인 방법론이 있을까? 그런 방법론은 꿈과 같은 일이 아닐까?

이 강연에서는 누구나 삶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방법을 통해, 우리 모두의 지고한 행복을 이룰 수 있는 결정적인 방법을 알아본다.

참고고전
김용옥, 「금강경 강해」, 통나무


 
201701251643_6_1.jpg

박승찬
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철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졸업
獨 프라이푸르크대학교 중세철학 박사

주요저서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 「서양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사」 外


강연명
고통을 넘어서는 희망

강연일시
2014.10.21(화) 20:00~21:00

강연소개
2014년, 끊임없이 터지는 충격적인 사건과 사고는 우리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었다. 단순한 긍정의 논리로 극복할 수 없는 고통의 문제야말로, '사람다운 삶'을 살기 위해 우리가 피할 수 없이 관통해야만 하는 질문이다.

이 강연에서는 '희망'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유한한 인간으로서 극복할 수 없는 또는 극복하기 너무나 힘든 고통과의 싸움 속에서 진정한 내면의 성숙을 이룰 수 있는 힘을 찾아본다.

참고고전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문시영, 지만지


7회
201701251643_7.jpg

이강호
그런포스 코리아 그룹 회장
일본 그런포스펌프 이사 · 대만 그런포스펌프 이사(前회장)겸임
육사 29기 임관, 대표화랑상 수상
덴마크 왕실 훈장, 은탑산업훈장 수훈
연세대학교 ·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주요저서
「젊은 심장, 세계를 꿈꿔라」 (공저), 「나의 꿈은 글로벌CEO」 (공저) 


강연명
글로벌 시대, 어떻게 살 것인가

강연일시
2014.10.28(화) 19:00~21:00

강연소개
오늘날 우리는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지역이나 국경이라는 구분이 거의 사라진 시대를 살고 있다. 분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길어진 평균수명, 넓어진 자식의 교류 등으로 시간과 지식의 경계 또한 옅어져 가고 있다. 옅어져 가는 경계만큼, 우리의 가치관 또한 혼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시대에, 우리는 어떤 가치관과 자세로 살아야 하는가?
가장 한국적인 스펙으로, 25년간 세계적 기업의 CEO로 재직한 이강호 회장의 경험을 통해 글로벌 시티즌십을 배워보자.

참고고전
이기동, 「대학 중용 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문화원


8회
201701251643_8.jpg

양성원
첼리스트,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英)Royal Academy of Music 초빙교수
대원음악연주상, 객석예술인상, 2006 올해의 예술상 수상
인디애나주립대학교 대학원

주요 앨범
Cello Suites(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전곡)
Piano Trio Op.97 Archduke & Op.70 No.2 / Trio Owon,
Schubert & Dvorak Piano Trios / Trio Owon 外

공연명
The Classic plays the Life (재단설립기념연주회)

강연일시
2014.11.04(화) 19:00~20:00

강연소개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의 설립 4주년을 기념하는 세계적 첼리스트 양성원 교수의 연주회. 네 개의 현으로 삶을 연주한다. 명곡 연주와 음악적·역사적 맥락에 대한 해설이 곁들여진 연주회.

참고고전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 윤새라, 펭귄클래식코리아



 
201701251643_8_1.jpg

석영중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백상번역문학상, 뿌쉬낀 메달 수상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박사

주요저서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뇌를 훔친 소설가」 外 


강연명
톨스토이, 성장을 말하다.

강연일시
2014.11.04(화) 20:00~21:00

강연소개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는 평생동안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했다. 끈질긴 성찰과 추구 끝에 있는 그는 "성장하는 삶"에서 답을 찾았다. 그의 대표작 안나 카레니나는 인생의 의미에 대한 저자의 사색을 함축한다. 톨스토이는 사랑, 결혼, 불륜, 종교, 죽음의 주제가 뒤얽힌 장대한 스케일의 소설을 통해 "인간은 성장할 수 있으며 성장해야만 한다"는 강력한 신념을 전달한다. 톨스토이 문학과 사상 전체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인간의 성장 가능성이다.

참고고전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 윤새라 역 펭귄클래식코리아


9회
201701251643_9.jpg

황현산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명예교수
한국번역비평학회 명예회장
대신문학상 아름다운 작가상, 팔봉비평문학상 수상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박사

주요저서
「밤이 선생이다」, 「잘 표현된 불행」, 「말과 시간의 깊이」 外 


강연명
시와 타자의 목소리

강연일시
2014.11.11(화) 19:00~21:00

강연소개
시인은 시를 통해 자기 자신의 목소리로 자기 존재를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존재들과 사물들이 없이는 시인의 삶도, 시인의 목소리도 없다.
시인이 자기를 비우고 다른 사람들, 다른 사물들과 만날 때, 그의 목소리는 온전한 자기 목소리가 된다.
시인이 자기와 가장 멀리 떨어진 타자와 만날 때 그의 목소리는 독창성을 얻는다.
인간에게는 자기 밖에도 타자가 있지만 자기 안에도 자각하지 못하는 타자가 있다.
자기 안의 타자에 대한 의식이 자기 밖의 타자를 만나게 한다. 자신과 세상에 대한 변화도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참고고전
로트레아몽, 「말도로르의 노래」, 이동렬 역, 민음사



10회
201701251643_10.jpg

손봉호
나눔국민운동본부 대표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명예교수, 고신대학교 석좌교수
(前)세종문화회관 이사장, 동덕여자대학교 총장
암스테르담자유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주요저역서
「고통받는 인간」, 「잠깐 쉬었다가」, 「한국 사회의 발전과 기독교」 外 


강연명
아프게 하는 사회, 이 시대가 요구하는 윤리

강연일시
2014.11.18(화) 19:00~21:00

강연소개
세월호 사건부터 윤일병 사망 사건까지, 2014년 우리 마음은 일상에 지친 몸보다 더 무거웠다. 이러한 마음의 상처로 인하여 사람들은 반목하고 분노한다. 분노와 갈등을 넘어서 다시 화합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엄중한 성찰과 철저한 반성을 통해 진정 이 시대를 위한 윤리를 생각해본다.

참고고전
라인홀드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이한우, 문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