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utiful Life _ 아름다운 삶과 죽음

Beautiful Life _ 아름다운 삶과 죽음

공동주최 : 이화여자대학교

기간 : 2015-03-03 ~ 2015-05-05

프로그램 개요 

인문학 대중강연 「Beautiful Life」는 현대를 사는 우리가 잊고 사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질문인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이 아름다운 인생인가'를 주제로 하는 대중 강연프로그램입니다. 이 강연에서는 우리시대 최고의 지성들이 학문의 틀에 갇힌 인문학을 실상으로 불러내어 '아름다운 삶'과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_20160613165614.jpg

 

 

 


1회
201701241506_1.jpg

최재천
국립생태원 원장
이화여자대학교 에코화학부 석좌교수
서울 국제생태학회 공동위원장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생물학 박사

주요저서
「통섭적 인생의 권유」, 「통찰」, 「통섭의 식탁」 外 다수


강연명
생명, 그 아름다움에 대하여

강연일시
2015.03.03(화) 19:00~21:00

강연소개
생명 또는 삶을 과학적으로 분석해보면 가장 보편적인 속성이 바로 죽음이다. 지구의 모든 생명은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유전자 수준에서 바라본 생명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한번도 멈추지 않고 이어져왔다. 생명에 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2회
201701241506_2.jpg

김종성
(주)서울건축 명예대표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건축교수 역임
한국건축가협회 명예건축가
Fellow,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주요작품
경주 우양미술관, SK 본사사옥, 서울 힐튼호텔, 서울 역사박물관, 국립 역도경기장 (현 우리금융 아트홀)

강연명
삶을 담는 공간, 건축의 미학

강연일시
2015.03.10(화) 19:00~21:00

강연소개
건축은 인간의 삶과 역사 그리고 문화를 담고 있다.

이러한 건축을 삶의 예술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삶과 세계를 이해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한국의 근대건축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한 건축가 김종성의 건축세계를 통해 건축이 품고 있는 인간, 그리고 인간이 품고 있는 건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3회
201701241506_3.jpg

김대식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과 교수
독일 Max-Planck-Institute for Brain Research 뇌과학 박사

주요저서
「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김대식의 빅 퀘스천」 外 다수


강연명
뇌, 현실, 그리고 인공지능

강연일시
2015.03.17(화) 19:00~21:00

강연소개
현대 뇌과학이 인류에 던지는 3가지 질문
- 나는 무엇인가?
- 현실이란 무엇인가?
- 그리고 뇌를 모방한 인공지능은 과연 가능한가?

참고고전
플라톤, 「파르메니데스」


4회
201701241506_4.jpg

황농문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카이스트 대학원 소재공학 박사

주요저서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공부하는 힘」, 「몰입 두 번째 이야기: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外 다수


강연명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다.

강연일시
2015.03.24(화) 19:00~21:00

강연소개
세상에는 발견되지 않은 미개척지가 있지만, 우리 안에도 발견되고 발휘하지 못한 거대 영역들이 숨어 있다. 그러나 우리가 애써 흔들어 깨우지 않는다면 무한한 잠재력의 거인은 영원히 잠든 채 깨어나지 못할 것이다. 내 안에 잠든 최고의 나를 깨우는 방법은 무엇일까? 국내 몰입전문가 황농문 교수가 누구나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몰입 방법을 통해 최고의 나를 만나는 해답을 알려준다.


5회
201701241506_5.jpg

정호승
공초문학상(2011), 소월시문학상(1989)등 수상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석사

주요저서
「슬픔이 기쁨에게」,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 外 다수


강연명
당신이 없으면 내가 없습니다: 사랑과 고통의 본질과 이해

강연일시
2015.03.31(화) 19:00~21:00

강연소개
사람 살이의 슬픔, 상처, 고통마저 희망의 씨앗으로 키우는 서정시인 정호승.
수없이 좌절을 맛보는 우리의 멍든 가슴속에서 희망과 사랑을 길어올리는 시인 정호승의 가슴 벅찬 목소리를 들어보자.


6회
201701241506_6.jpg

김애령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졸업

주요저서
「주체와 타자 사이: 여성 타자의 은유」, 「은유의 도서관: 철학에서의 은유」 外


강연명
아름다운 삶을 비추는 영혼, 친구

강연일시
2015.04.07(화) 19:00~21:00

강연소개
우리는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가는 동안에도 그것의 의미를 알 수 없다. 그러나 내 삶을 하나의 스토리로 만들 수 있을 때, 삶의 기쁨과 고통을 누군가에게 이야기 할 수 있을때, 우리는 삶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삶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나누는 타인과의 두터운 관계는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 자신에게 말하듯 무엇이든 마음껏 더불어 말할 수 있는 누군가를 갖는다는 것만큼 감미로운 일은 없다." (키케로,<우정에 관하여>)


참고고전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7회
201701241506_7.jpg

정재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교수
한국종교학회 이사
종교철학분과 위원장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종교와사회연구소 소장

주요저서
「티끌만도 못한 주제에」, 「망치로 신학하기」,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外


강연명
죽음, 숙명인가 해방인가?:종교철학적 성찰

강연일시
2015.04.14(화) 19:00~2100

강연소개
우리에게 죽음은 어찌할 수 없는 숙명인가?
삶의 질곡에서 벗어나는 해방인가?
죽음과 삶은 이처럼 모순적인 대결관계 일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이 강연에서는 삶에게 걸어오는 죽음의 시비를 피하기보다 오히려 삶 안으로 적극적으로 껴안는 자세를 통해 더 크고 깊은 삶으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한다.



8회
201701241506_8.jpg

강영안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철학연구회 부회장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자유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주요저서
「타인의 얼굴: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철학」,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 삶과 텍스트 사이에서 생각하기」 外


강연명
Melete thanatou (멜레테 타나투): 죽음의 연습

강연일시
2015.04.21(화) 19:00~21:00

강연소개
죽음은 살아있는 존재들의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 현실을 생각하고 아름다운 삶,
제대로 사는 삶을 사는 것을 철학은 늘 추구해왔다.
이 강의를 통하여 철학과 죽음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여기에 관련된 물음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생각해 볼 것이다.



9회
201701241506_9.jpg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부학장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상
보령우수연구자상

주요저서
「나는 한국에서 죽기 싫다」, 「나는 죽음을 이야기하는 의사입니다」 外 다수


강연명
의미있는 삶, 아름다운 마무리

강연일시
2015.04.28(화) 19:00~21:00

강연소개
대한민국 죽음의 민낯은 어떤 모습일까?

삶의 끝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수십년간 지켜보고 연구해 온 임종의료 의사로서 죽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우리 사회가 애써 외면하고 있던 죽음의 현실을 날카롭게 진단한다.
아무도 제대로 물어본 적 없는 '어떻게 죽음을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의미있는 삶과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희망을 찾는 방법은 무엇일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10회
201701241506_10.jpg

김상근
연세대학교 신학과 교수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박사

주요저서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인문학으로 창조하라」 外


강연명
죽음 이후에 남는 삶의 의미

강연일시
2015.05.05(화) 19:00~21:00

강연소개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에 이어 성찰의 인문학이 당신에게 던지는 세 번째 질문 '무엇이 아름다운 삶과 죽음인가?' 이번 강연에서는 아름다운 삶과 숭고한 죽음을 완성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한다.
과연 죽음 이후에 남는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인문학이 우리에게 던진 세 가지 질문의 의미, 이 시간을 통해 내 안의 탁월한 혜안을 깨워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