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보다 더 머리가 좋을 뿐만 아니라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AI가 내 주변의 가까운 친구나 동료, 혹은 경쟁자로 존재한다면 과연 나는 어떤 인간성을 갖추고 성취해야 할까요?
AI시대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진화생물학, 사회생물학, 뇌과학, 인류학, 사회학, 기호학, 철학을 융합하여 인간의 본성에 대해 탐구하는 한편, 공감과 연대, 윤리와 영성에 기반하여 AI 시대에 부합하여 인간의 본성이 지향할 바를 제시해 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20558abdc98dbc10/3bafd12554a59.png)
연사 : 이도흠 교수
프로필 :
현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기호학회 회장
전 한국시가학회 회장
전 한국언어문학회 회장
저서
『인류의 위기에 대한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신라인의 마음으로 삼국유사를 읽는다』,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8-19세기 한국문학, 차이의 근대성』 외
역서 :
틱낫한의 『엄마』
주제 | AI와 인간 본성의 새로운 지향 |
강연 | 이도흠 교수(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일시 | 2023년 6월 22일(목) 15:00 ~ 16:30(90분) |
장소 | 무료 온라인 Zoom 강연 |
접수 | ▶ 신청하기 |
인간보다 더 머리가 좋을 뿐만 아니라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AI가 내 주변의 가까운 친구나 동료, 혹은 경쟁자로 존재한다면 과연 나는 어떤 인간성을 갖추고 성취해야 할까요?
AI시대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진화생물학, 사회생물학, 뇌과학, 인류학, 사회학, 기호학, 철학을 융합하여 인간의 본성에 대해 탐구하는 한편, 공감과 연대, 윤리와 영성에 기반하여 AI 시대에 부합하여 인간의 본성이 지향할 바를 제시해 봅니다.
연사 : 이도흠 교수
프로필 :
현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기호학회 회장
전 한국시가학회 회장
전 한국언어문학회 회장
저서
『인류의 위기에 대한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신라인의 마음으로 삼국유사를 읽는다』,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8-19세기 한국문학, 차이의 근대성』 외
역서 :
틱낫한의 『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