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연구소]미래지향목표가 대학생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단기 종단적 영향: 자율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5-02-24


*연구과제명: 미래지향목표가 대학생의 자기존중감에미치는 단기 종단적 영향: 자율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 기관: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
-저자: 김해인, 김향숙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학기 초에 갖는 미래 지향 목표가 4개월 후인 학기 말에 이들이 보고하는 자기 존중감 수준에 미치는 단기 종단적 영향 및 이러한 과정에서 자율성이 갖는 역할을 살펴보았다. 특히 미래 지향 목표의 유형, 즉 내재적 및 외재적 유형이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의 발달 과업과 관련된 자율성 수준이 조절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개의 대학교에서 모집된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미래 지향 목표, 자율성, 자기 존중감을 측정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을 학기 초와 말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의 내재적 미래 지향 목표는 이후의 자기 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외재적 미래 지향 목표는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내재적 미래 지향 목표가 이후 시점의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율성 수준에 따라 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율성 수준이 낮을 때에만 내재적 미래 지향 목표가 자기 존중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 초기 대학생들의 자기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 이들의 미래 지향 목표와 자율성 수준에 대한 고려가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미래지향목표, 자율성, 자기존중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