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과학연구소][명상] 신경인지적 요소로 살펴본 명상

2022-03-23

*연구과제명: 신경인지적 요소로 살펴본 명상

연구기관: KAIST 명상과학연구소 내부지정과제
연구 책임자: 정용 교수
연구기간: 2021.01.01~2021.12.31
참여연구원수: 총 4명


본 연구는 인지-행동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명상의 뇌/인지적 효과를 규명했다. 나아가 모바일 앱에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세부 과제 (1): 인지-행동 과제 개발
1. 정서 유발 사진을 짧게 제시하고 곧이어 집중력을 측정하는 과제 개발.
2. 정서 유발 사진이 제시되었을 때, 뇌파(EEG, ERP) P300과 Late Positive Potential (LPP)가 증가함. (P300은 자극의 정서적 중요성을 인지한 정도를, LPP는 정서적 흥분/조절 정도를 의미 함.)
3. 정서적 흥분은 뒤이은 집중력의 변화를 유발하며, 앞서 나타난 ERP 반응에 의해 변화의 방향 성(향상 vs. 저하)이 결정됨.

세부 과제 (2): 마음 챙김 훈련의 인지적 효능
1. KAIST 명상 과학센터 미산 스님이 개발한 “감각에 깨어있기” 명상 이용.
2. 명상 집단의 경우, 정서적 흥분이 일어나는 정도가 줄어들고 집중력이 유지됨.
3. 비교 집단의 경우, 정서적 흥분은 지속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며, 집중력에 변화를 일으킴.

세부과제 (3): 마음 챙김 적용 모바일 앱 개발
1. 감각 마음 챙김 모듈을 모바일 앱에 적용.
2. 사용자의 동기 유발을 위해 본인만의 고양이를 기르는 게임 시스템 도입.
3. 추후 앱의 효능 입증을 위한 실험 진행 예정.


#마음챙김훈련, #뇌파, #정서조절, #집중력, #모바일앱